![좌측부터 신형 GTF엔진. Flexible OLED. 3D 프린팅 적용 부품. [사진=국토부]](http://www.the-tech.co.kr/data/photos/20210832/art_16287447776446_4ec33b.jpg)
[더테크 뉴스] 정부가 해외 의존도가 높은 항공정비(MRO)산업 국산화를 위해 국내 산업 규모를 7배 이상 끌어올리고 일자리도 창출한다는 계획이다.
12일 국토교통부에 따르면 정부는 이날 관계부처 합동으로 진행한 제43차 비상경제 중앙대책본부회의에서 '항공정비 산업 경쟁력 강화방안'을 의결했다.
항공MRO는 항공기의 안전운항과 성능유지를 위한 △운항 △기체 △부품 △엔진 등 정비를 일컫는다. MRO산업은 성장잠재력이 높은 고부가가치 산업이지만, 국내에선 아직 경쟁력 확보가 미흡하다는 평가가 나온다.
이에 정부는 2025년까지 국내 MRO 정비물량 중 70%를 국내에서 처리하고, 2030년까지는 국내 시장규모를 5조원으로 확대하는 것을 목표를 세웠다. 관린 일자리도 7000명에서 2만5000명으로 대폭 늘린다.
이를 위해 국내 MRO 물량 확대 지원에 나선다. 국내 정비물량 확보지원, 軍 정비물량 민수전환, 국산 헬기 정비수요 확보 등을 통해 국내 MRO 수요를 대폭 견인할 계획이다.
또한 가격경쟁력 강화를 위해 항공부품 관세부담 완화, 부품비용 절감, MRO 기업 육성·지원을 위한 금융지원 체계도 마련한다.
이어 항공정비 기술수준 향상을 위해 MRO 핵심기술로드맵에 따른 체계적인 기술개발, R&D 상용화, 국제공동개발사업을 통한 기술획득 등을 추진한다.
노형욱 국토교통부 장관은 “이번 대책을 통해 우선은 해외 정비의존도를 30% 이내로 줄이고, 국내 정비시장 규모를 7배 이상 확대하여 세계 7위의 항공운송산업 규모에 걸맞는 MRO산업 육성을 기대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