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혜숙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 [사진=과학기술정보통신부]](http://www.the-tech.co.kr/data/photos/20210626/art_16248651533067_8bd248.jpg)
[더테크 뉴스] 임혜숙 과학기술정보통신부장관은 28일 5세대 이동통신(5G) 관련 주요 현안을 논의하기 위해 통신 3사 대표와 간담회를 가졌다.
이번 간담회에서는 3.5㎓ 대역 5세대(5G) 전국망 구축 추진현황과 28㎓ 대역 5세대(5G) 활성화 방안 등에 대한 논의가 진행됐다.
임혜숙 장관은 모두발언을 통해 코로나를 계기로 비대면·디지털 전환이 가속화되면서 5세대(5G) 네트워크의 중요성이 크게 부각되고 있음을 강조했다.
이어 세계 최초 5세대(5G) 상용화(’19.4월) 이후 2년만에 5세대(5G) 가입자는 1,500만명을 돌파했으며, 국산 장비·콘텐츠 수출은 본격화되어 소기의 성과를 거두고 있다고 평가했다.
![통신사의 5세대(5G) 네트워크 구축 계획. [자료=과학기술정보통신부]](http://www.the-tech.co.kr/data/photos/20210626/art_16248647692271_9cf05c.jpg)
임 장관은 5세대(5G) 품질에 대한 불만을 가진 이용자가 많은 현실을 고려하여 조속한 품질개선을 요청하는 한편, 지난해 발표된 5세대(5G)망 구축 계획에 따라 ’22년까지 85개시를 중심으로 촘촘하게 5세대(5G)망을 구축하고 디지털 격차 해소를 위한 농어촌 지역 투자도 차질없이 추진해줄 것을 당부했다.
통신 3사도 이용자가 만족할 수 있는 5세대(5G)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5세대(5G) 수신권역(커버리지) 확대 및 품질 개선을 위해 최선을 다하기로 했다.
5세대(5G) 28㎓ 대역에 대해서는 참석자 모두 활성화 필요성에 대해 공감했으며, 통신 3사는 28㎓ 5세대(5G) 활성화를 위해 시범 과제(프로젝트)와 지하철 와이파이 실증사업을 차질없이 추진하기로 했다.
또한 28㎓ 시범 과제(프로젝트)는 올해 3월 발족한 ‘28㎓ 5세대(5G) 활성화 전담반’을 통해 논의가 시작되어 각 통신사에서 자체적으로 장소를 선정하고 제공할 서비스를 구체화했다.
코엑스, 수원 위즈파크, 부여 정림사지 등 전국 10개 장소에서 28㎓ 5세대(5G)망이 시범 운영될 계획으로, 일부 장소에서는 일반인들에게 28㎓ 단말기 체험 기회가 제공한다.
특히, 올해는 데이터 댐 구축 등 디지털 뉴딜을 통해 국민과 기업이 체감할 수 있는 성과를 창출하기 위해 함께 노력하기로 했다.
신 3사는 환경문제 및 기후위기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중요한 가치로 떠오르고 있는 ‘환경·사회·지배구조(ESG) 경영’ 확산을 위해 노력하기로 했다.
그 일환으로 올해 7월부터 이동통신 무선국 “환경친화 정비사업”을 추진하여 도시미관 개선 및 안전한 통신환경 조성에 기여할 수 있도록 난립·노후화된 무선국을 정비해 나간다.
임혜숙 과기정통부 장관은 “28㎓를 비롯한 밀리미터파 기술은 6세대(6G) 등 통신 기술이 진화될수록 중요성과 활용도가 높아질 것”이라며, “이번 28㎓ 시범 과제(프로젝트)와 지하철 와이파이 실증사업을 계기로 기술개발과 활용 경험을 축적하여 28㎓ 5세대(5G)를 활성화시키고 더 나아가 6세대(6G) 이후도 우리가 선도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