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테크 뉴스] ESG경영 확산으로 친환경 신사업을 추진하는 기업들이 빠르게 늘어나는 가운데 사업 활성화하기 위해 '세제·금융지원'과 '법·제도 합리화'가 시급하다는 조사결과가 나왔다.

대한상공회의소는 13일 국내 매출액 상위 500대 제조기업을 대상으로 '제조기업의 친환경 신사업 추진실태와 과제'를 조사한 결과를 발표했다.
조사 결과, 친환경 신사업 추진과정에서 필요한 정책과제로 ‘세제·금융 지원’(42.0%)’을 가장 많이 꼽았다고 13일 밝혔다. 이어 ‘법·제도 합리화’(38.7%), ‘정부 R&D 확대’(17.7%), ‘인력양성’(1.6%)순으로 응답이 많았다.
친환경 신사업 추진여부에 대해서는 37.7%는 친환경 신사업을 ‘추진중’(20.7%) 또는 ‘추진계획이 있다’(17.0%)고 답했다. ‘추진계획이 없다’는 응답은 62.3%였다.
친환경 신사업 추진이유로 ‘2050 탄소중립, 탈(脫)플라스틱 등 국내외 환경정책 대응’(38.6%)이 가장 많았고,‘ESG경영 실천’(27.9%), ‘새로운 사업기회 모색’(24.3%), ‘이해관계자 요구’(7.1%) 순이었다.
추진분야로는 수소․재생에너지 등 ‘탄소감축 사업’(54.0%)이 가장 많았으며 재활용‧폐기물 처리 등 ‘자원순환 사업’(30.1%)이 뒤를 이었다.
추진단계는 '사업검토(40.7%)' 또는 '착수 단계(26.6%)'인 초기단계에 있는 기업이 많아 성과를 내기까지는 다소 시간이 걸릴 전망이다. '제품 출시 등 성장단계'는 21.2%, '안정단계'는 11.5%였다.
사업 추진방식으론 '자체 연구개발(66.0%)'이 가장 많았다. 또 '기술 구매(19.4%)', '기술 제휴(6.5%)', '국가사업 참여(6.5%)', 'M&A(1.6%)' 순으로 나타났다. 친환경 신사업에 4차 산업혁명 기술을 융합하는 기업은 15.9%로 나타났다.
김녹영 대한상의 지속가능경영센터장은 "정부에서 올해 상반기까지 친환경 활동의 판단기준이 되는 녹색분류체계를 확정하게 되면 기업의 환경 관련 신사업 투자가 더욱 가속화될 전망"이라며 "우리 경제의 근간인 제조기업이 저탄소경제 시대에 환경문제를 주도적으로 해결하고 일자리를 창출할 수 있도록 정부에서 과감한 지원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