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테크 뉴스] 산업통상자원부는 세계적인 수준의 중견기업을 육성하자는 취지로 시작한 '월드클래스' 2단계 사업 출범식을 14일 개최했다. 이날 '월드클래스 시즌2' 출범식은 올해 선정된 월드클래스 기업 19개사 및 유관기관 등이 참석했다.
정부는 2030년까지 우수한 역량을 갖춘 기업 200개 안팎을 선발해 총 9천135억원을 투자할 방침이다. 월드클래스 사업은 일정 이상의 매출 중견기업 또는 수출·혁신 역량 등을 갖춘 기업을 선발해 혁신 R&D를 지원하고, 유관기관과 함께 금융·수출 컬설팅 등을 지원한다.
정부는 월드클래스 프로젝트 '11년 1단계 사업이 시작된 이후, 300여개 기업에 다양한 지원을 제공했고, 중소기업이었던 176개사 중 64개사(36%)가 중견기업으로 성장했다. 자동차, 반도체 등 국가 전략산업의 핵심주체로 성장하였으며, 반도체, 바이오 등 다양한 분야에서 월드클래스 기업 제품이 세계시장을 선도하고 신시장을 개척하는 성과도 창출했다. 기업 혁신·정책 지원으로 매출과 수출, 고용 등이 증가하였으며, 상장 기업의 경우 시가총액 증가율이 지난 10년간 81.9%에 달했다.
![월드클래스 지난 10년간의 성과(인포그래픽) [출처=산업통상자원부]](http://www.the-tech.co.kr/data/photos/20210519/art_16209621962885_fc5e73.png)
정부는 2단계 사업에선 일자리와 수출을 견인하는 '알짜기업'을 육성하겠다는 비전을 제시했다. 양질의 일자리 7만개를 창출하고 세계일류상품 생산기업 120곳을 키워낸다는 목표다. 이를 위해 우수한 역량을 갖춘 기업 200개 내외를 선발하여 육성하고, 총 9천135억원을 투입해 기업의 혁신성장 기반 구축을 도울 예정이다.
아울러 금융기관, 코트라, 한국생산성본부 등 20개 기관이 참여하는 '월드클래스 셰르파'도 구성해 자유무역협정(FTA), 시험인증, ESG 및 경영컨설팅 등 유관기관을 확충하여 체계적으로 지원할 계획이다.
정부는 이들 기업이 산학연 혁신 생태계의 중심이 되는 중추기업과 ESG를 실천하는 모범기업으로도 성장할 수 있게 뒷받침할 방침이다.
박진규 산업부 차관은 “우리 기업에 가장 필요한 것은 미래에 대한 비전과 이를 위한 변화의 동력이라는 것”을 언급하며, "오늘 기업이 다짐한 3가지 미래 비전이, 기업이 성장하고 핵심인재가 모이는 선순환의 초석이 될 수 있도록 정부도 최선을 다해 지원”할 것임을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