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더테크 뉴스] 정부가 2025년까지 수출 중소기업을 지금의 두 배 수준인 18만5천 개로 늘리기로 하고 맞춤형 정책 지원에 나선다는 계획이다.
수출 스타트업 5만개, 수출 소상공인 5만개, 온라인 수출과 기술수출 중소기업 5만개를 육성한다는 계획이다. 이를 위해 금융·마케팅 지원 등 고도화하고 특히 온라인수출 중소기업의 물류고도화를 위해 공동물류센터를 활용하거나 물류센터를 건설한다.
중소벤처기업부는 12일 '제35차 비상경제 중앙대책본부 회의'에서 이런 내용을 담은 '중소기업 수출지원 고도화 방안'을 확정했다고 밝혔다.
중기부는 스타트업 수출 선도 모델 창출 및 확산을 위한 ‘선도모델’을 매년 100개씩 발굴하기로 했다. 구체적으로 글로벌 기업과 네트워킹을 통한 합작법인 설립과 제품양산 등 수출 스타트업-글로벌기업 간 선도모델을 발굴한다.
선도모델 스타트업에 대한 현지화 액셀러레이팅, 사업화자금, 금융·투자유치·해외마케팅 등 패키지 제도를 지원한다. 올 하반기부터 코리아스타트업센터의 스타트업 액셀러레이팅 지원기능에 한국벤처투자의 글로벌투자유치 지원을 연계하는 원루프 지원시스템도 마련해 시행한다.
유망 스타트업에 대해서는 글로벌전시회에 참여하는 기회를 제공해 수출마케팅 지원을 강화한다. 참여 스타트업에 대해서는 질병청과 협업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백신을 우선 접종하는 것도 추진한다.
해외에서 관심이 있을 소상공인 제품을 연간 100개씩 발굴해 디지털 콘텐츠로 제작과 온라인전시회를 통해 바이어 연결을 지원한다. 이어 빅바이어를 초청해 소상공인 집적지구 현장투어를 추진하고 수출 소상공인에 대한 금융 지원기반을 구축한다.
중기부 권칠승 장관은 대책과 관련해 “이번 대책은 코로나19 이전 보다도 나아지고 있는 중소기업 수출을 최대한 지원해 더 활성화하겠다는 것”이라 밝히며, “대책이 수출 중소기업 현장에서 원활히 작동할 수 있도록 끝까지 챙길 것”임을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