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테크 뉴스] 정부가 화학물질·소재를 사용하는 중소·중견기업의 안전관리 지원을 위해 5년간 총 591억원을 투자한다.
산업통상자원부는 '제조분야 친환경관리 인프라 구축' 사업을 공고하고 사업수행 주관기관과 사업대상 지역 선정을 위한 공모 절차에 착수한다고 18일 밝혔다.
제조분야 친환경관리 인프라 구축 사업은 화학물질·소재를 사용하는 중소·중견기업에 올해 국비 44억1300만원, 5년동안 총 591억원을 투입할 예정이다.
산업부는 화학기반의 석유화학, 바이오, 이차전지 등 지역별 특화산업을 핵심적으로 육성하고 있는 3개 산단을 선정, 지원할 계획이다. 화학물질·소재 유해성 평가를 지원하고 사업장별 안전관리 모니터링, 시설개선, 컨설팅 등을 지원한다.
우선 친환경적 소재 개발, 물질 유해성 확인·저감 등을 위해 지역별 전략산업에 맞춰 3개 '개방형 실험실(오픈 랩)' 센터에 54종의 장비를 구축하고, 5년간 총 500건의 성능·시험평가를 지원한다.
또한 안전분야 투자가 어려운 소규모 사업장 등을 대상으로 안전관리 모니터링 시스템 보급, 노후화·고위험 시설의 개선, 컨설팅 등 3종의 사업장 '안전관리 통합지원 프로그램'을 운영한다. 이를 통해 유해성 평가 기간이 30% 단축되고, 비용이 75% 절감될 것으로 산업부는 예상했다.
특히 모니터링시스템은 기존의 사외배관, 도로, 공공시설 등 사업장 외부 관측 방식과 차별화 해 사업장 내 유해물질 취급시설에 대해 직접 모니터링 할 수 있는 방식을 도입했다. 이같은 패키지형 연계 지원을 통해 중소사업장의 자체 안전관리 역량 강화와 안전 관련 규제 대응에 대한 기업부담이 완화될 것으로 보인다.
황수성 산업부 산업정책관은 "국내외 환경규제 대응과 사업장 안전에 대한 정부의 적극적 지원이 필요하다"며 "기업수요에 기반한 새롭고 차별화된 방식의 이번 사업을 통해 제조기업이 연구개발, 생산·수출에 집중할 수 있는 산업환경 조성을 위해 지속 노력하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