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테크 이승수 기자] LG화학이 불을 붙였을 때 10초 안에 스스로 불이 꺼지는 친환경 난연 소재를 개발했다. LG화학은 재활용 플라스틱으로 만든 PFAS-Free 난연 PC/ABS 소재가 미국 인증 표준 난연성 테스트인 UL94에서 V-0 등급 인증을 받았다고 12일 밝혔다. V-0은 업계 최고 수준의 난연 성능 등급으로, 소재에 수직으로 불을 붙였을 때 10초 안에 스스로 불이 꺼져야 한다. PFAS가 없는 PC/ABS 소재로 V0 등급 난연 성능을 인증받은 것은 LG화학이 처음이다. PFAS는 열에 강하고 물과 기름에 녹지 않는 것이 특징으로, 주로 조리 기구나 의류 및 화장품 등에 사용된다. 자연에서 분해되지 않아 환경에 영향을 줄 수 있어 유럽과 미국을 중심으로 PFAS 없는 소재에 대한 수요가 늘어나는 추세다. LG화학은 자체 개발한 특수 난연화 공정을 통해 PFAS 없이도 소재가 열에 더 잘 견디도록 했다. 여기에 재활용 플라스틱(PCR, Post-Consumer Recycled material)을 더해 탄소 배출량도 줄였다. 소재 구성의 절반 이상을 재활용 플라스틱으로 만들어 일반 PC/ABS 소재를 사용할 때보다 탄소 배출량이 46%나 줄어
[더테크=조재호 기자] LG화학이 친환경 전력 공급망을 확보하고 탄소중립을 선도해 차별적 고객가치 제공에 집중한다. LG화학은 31일 ST인터내셔널, 신한자산운용과 함께 영덕·영양 리파워링 풍력발전단지 발전설비의 재생에너지에 20년간 장기 구매하는 계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리파워링이란 노후화된 발전소를 재정비해서 새로 건설함으로써 발전용량과 발전효율 늘리는 것이다. 이번 계약으로 확보한 재생에너지는 연간 최대 615GWh로 국내 민간기업이 구매한 풍력 발전 재생에너지 중 최대 규모다. 이는 14만6000가구가 1년간 사용할 수 있는 양이다. 공급 방식은 2026년부터 제3자 PPA(Power Purchase Agreements, 전력거래계약), REC(재생에너지 공급 인증서) 매매계약으로 진행된다. 제3자 PPA는 한국전력의 중개로 발전사업자와 전기소비자가 재생에너지 구매 계약을 체결하는 제도다. REC 매매계약은 재생에너지 공급 인증서를 구매하여 친환경 전기 사용 및 온실가스 배출 감축 인증을 받는 제도이다. 이번 계약으로 확보한 재생에너지는 LG화학의 저탄소 경쟁력을 높이고 친환경 에너지 사용 수요가 높은 글로벌 고객사들에 전지 소재, 친환경 소재 등을
[더테크=전수연 기자] LG가 2일 경기도 이천 LG인화원에서 지난 한 해 동안 제품, 기술, 서비스 분야에서의 가치 창출 성과를 격려하고 전파하는 ‘2024 LG 어워즈’를 진행했다고 3일 밝혔다. 구광모 LG 대표는 취임 후 경영 화두로 고객가치를 제시하고 해마다 이를 구체화하고 있다. 이에 맞춰 LG는 2019년부터 한 해 동안 차별적 고객가치를 만들어낸 사례를 선정해 시상하는 LG 어워즈를 운영하고 있다. LG는 올해 LG 어워즈에서 처음으로 구성원 심사제를 도입했다. 구성원 심사제는 함께 일하는 동료들이 고객의 입장에서 가치 혁신 사례를 심사한다는 취지다. 올해 LG 어워즈에는 최고상인 고객 감동 대상 4팀을 비롯해 고객 만족상 46팀, 고객 공감상 48팀 등 총 98팀 724명이 수상했다. LG는 출품된 제품, 서비스가 고객에게 제공하는 가치가 무엇이고 어떤 의미를 갖는지 철저히 고객의 관점에서 심사를 진행해 최고상을 선정했다. 대표적인 사례가 고객 감동 대상을 수상한 LG전자의 LG 시그니처 올레드 M 개발팀이다. LG 시그니처 올레드 M은 전원을 제외한 모든 선을 없앤 무선 올레드 TV다. 개발팀은 TV에 콘솔기기, 셋톱박스 등 다양한 외부기기
[더테크=문용필 기자] LG화학이 ‘매출 30조원’ 규모의 명실상부한 글로벌 톱 종합전지 소재 회사로 발돋움하겠다는 청사진을 제시했다. 신학철 부회장은 16일 해외 기관 투자자들을 대상으로 열린 뱅크오브아메리카의 ‘코리아 & 글로벌 전기차/이차전지 컨퍼런스’ 기조연설을 통해 전지 소재 매출 규모를 지난해 4조7000억원에서 오는 2030년 30조원 규모로 6배 성장시키겠다고 밝혔다. 이를 위해 LG화학은 이미 두각을 나타내는 양극재 외에도 분리막, 탄소나노튜브 등 부가소재 사업을 육성하는 한편, 퓨어 실리콘 음극재와 전고체 배터리 전해질 등 신소재 연구‧개발을 적극 추진할 방침이다. 특히, 하이니켈 양극재의 경우엔 글로벌 리더십을 확보해 시장을 지속 선도한다는 전략. 한‧중‧미‧유럽으로 이어지는 양극재 글로벌 4각 생산 체계를 갖추고 올해 12만톤 규모의 생산능력을 오는 2028년 47만톤까지 확대할 계획이다. 신규 글로벌 고객사 비중도 40%수준까지 끌어올릴 예정이다. 아울러 현재 니즈가 증가하고 있는 전기차 대중 소비 시장 공략을 위해 고전압 미드니켈과 리튬인산철, 망간리치 등 다양한 중저가 양극재 제품군으로의 사업 확장도 적극 검토하고 있다고 회